기후변화에 대응하고,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합니다.
2040 탄소중립 로드맵 및 이행방안
2040 탄소중립 로드맵 및 이행방안 2018(기준년도) 2023, 2040 탄소 중립 달성
*「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·녹색성장 기본법」의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 기준년도인 2018년을 2040 탄소중립 로드맵의 기준년도로 설정함
2040 탄소중리 이행방안 단기(~2025), 중기(~2030), 장기(2031~) 재생에너지, 에너지 효율 개선, 원료 및 연료전환, 무공해자 전환
환경경영 추진체계 조직도
조직의 환경 및 ESG(환경, 사회, 지배구조) 관리 체계 조직도입니다. 경영위원회: ESG위원회의 판단에 따라 필요시 의사 결정을 진행합니다. (최상위 레벨) ESG위원회: 환경경영 목표, 이행 성과 등을 관리, 감독하며 의사 결정을 담당합니다. 기술안전부문: 아래에 여러 팀이 포함됩니다. 물기술팀 환경경영담당: 온실가스 관리 및 환경경영 목표 수립과 이행 등을 담당합니다. 물기술팀: 에너지, 용수, 수질, 대기 관련 업무를 담당합니다. 타워기술팀: 에너지, 용수, 대기 관련 업무를 담당합니다. 자산운영팀: 폐기물 관리를 담당합니다.
에너지경영시스템 운영
효과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해 2019년 국제 에너지경영시스템 인증인 ISO 50001을 취득하여 유지하고 있습니다. 몰기술팀을 포함한 에너지 관리 전담조직을 구성하여 관련 R&R을 명시하고 있으며, 에너지 사용량 및 절감 계획을 수립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한편 내부감사를 통해 관련 리스크를 주기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. 또한, 신재생에너지를 적극 활용하여 2023년에는 설계치(14.5%)보다 높은 18%의 재생에너지 대체율을 달성했습니다.
ISO 50001(에너지경영시스템) 인증서
온실가스 및 에너지
구분 | 단위 | 2021 | 2022 | 2023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온실가스 배출1) | Scope 1 배출량 | tCO₂eq | 5,164 | 5,297 | 5,617 |
Scope 2 배출량 | tCO₂eq | 30,653 | 32,459 | 32,262 | |
온실가스 총 배출량 (Scope 1+2) |
tCO₂eq | 35,817 | 37,756 | 37,879 | |
온실가스 원단위 배출량2) | tCO₂eq/m² | 0.08 | 0.09 | 0.09 | |
에너지 사용1) | 비재생에너지 사용량 | TJ | 741 | 776 | 754 |
재생에너지 사용량3) | TJ | 18) | 1 | 1 | |
총 전력 사용량 | TJ | 641 | 683 | 674 | |
총 에너지 사용량4) | TJ | 742 | 777 | 755 | |
에너지 집약도5) | TJ/m² | 0.002 | 0.002 | 0.022 | |
총 전력 판매량6) | TJ | - | - | 1.9 | |
에너지 사용량 증감률7) | % | 2.7 | 4.7 | -2.8 |
대기오염물질 배출량1)
구분 | 단위 | 2021 | 2022 | 2023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NOX | 롯데월드타워 배출량2) | kg | 630 | 702 | 585 |
롯데월드몰 배출량3) | kg | 952 | 613 | 208 | |
총 배출량 | kg | 1,5824) | 1,315 | 793 | |
원단위 배출량5) | kg/백만원 | 0.002 | 0.003 | 0.002 | |
SOX | 배출량3) | kg | 17 | 15 | 11 |
원단위 배출량5) | kg/백만원 | 0.000022 | 0.000031 | 0.000027 | |
먼지 | 배출량3) | kg | 51 | 46 | 34 |
원단위 배출량5) | kg/백만원 | 0.000067 | 0.000094 | 0.000082 |
폐기물
구분 | 단위 | 2021 | 2022 | 2023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폐기물 발생량 (국내)6) |
지정 폐기물 | 톤 | 5 | 7 | 5 |
일반 폐기물 | 톤 | 1,005 | 1,605 | 2,032 | |
폐기물 총 발생량 | 톤 | 1,010 | 1,612 | 2,037 | |
폐기물 처리 (국내)6) |
소각 | 톤 | 922 | 441 | 0 |
매립 | 톤 | 62 | 134 | 0 | |
재활용 | 톤 | 26 | 1,037 | 2,037 | |
폐기물 발생량 (해외)7) |
지정 폐기물 | 톤 | 4 | 5 | 5 |
일반 폐기물 | 톤 | 550 | 660 | 825 | |
폐기물 총 발생량 | 톤 | 554 | 665 | 830 |
용수
구분 | 단위 | 2021 | 2022 | 2023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용수 사용 (국내)8) | 취수량 | 상수(A) | 톤 | 321,29012) | 386,675 | 430,474 |
지표수(B) | 톤 | N/A | N/A | N/A | ||
지하수(C) | 톤 | 95,50612) | 96,424 | 85,586 | ||
취수량 변화율 | % | 4 | 16 | 7 | ||
방류량(D)9) | 톤 | 45,706 | 35,331 | 22,897 | ||
사용량 (A+B+C-D) | 톤 | 371,090 | 447,768 | 493,163 | ||
용수사용 집약도10) | 톤/m² | 0.87 | 1.04 | 1.15 | ||
용수 재이용 (국내)11) | 총 취수량 | 톤 | 416,796 | 483,099 | 516,060 | |
총 재이용량 | 톤 | 55,668 | 85,544 | 89,968 | ||
취수량 대비 재이용률 | % | 13 | 18 | 17 | ||
용수 사용 (해외)11) | 취수량 | 톤 | 417,030 | 492,706 | 508,505 | |
사용량 | 톤 | 293,800 | 352,246 | 390,264 |